본문 바로가기
맛있는 이야기

새우깡서 미세 플라스틱 검출 기사

by 해리보쉬 2023. 7. 14.
728x90
반응형

https://tv.naver.com/v/38003506

 

[단독] 새우깡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국민 하루 섭취량의 70배 달해

헬스조선 TV | 새우깡과 꽃게랑에서 국민 1일 섭취량의 70배에 달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돼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과연 이 미세플라스틱이 어디서 온 것일까요? 헬스조선이 한국분석과학연

tv.naver.com

https://naver.me/xUthxSHs

 

[단독] 새우깡서 미세 플라스틱 검출… 국민 하루 섭취량의 70배 달해

새우과자와 꽃게과자에서 국민 1일 섭취량(16.3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70배가 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헬스조선이 미세플라스틱이 많다고 알려진 갑각류를 원료로 만든 과자를 전문 조

n.news.naver.com

새우과자와 꽃게과자에서 국민 1일 섭취량(16.3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70배가 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헬스조선이 미세플라스틱이 많다고 알려진 갑각류를 원료로 만든 과자를 전문 조사기관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다. 다만 이것이 원 재료인 새우와 꽃게에서 나온 것인지, 포장 재질 때문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위험하고, 몇 개까지 먹어도 안전한지에 대한 규정은 없는 상태다. 그러나 국민 1일 섭취량보다 엄청나게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과자에서 검출된 만큼 새우과자가 위험한 것인지, 먹어도 괜찮은 것인지 국가 차원의 전반적인 조사와 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새우과자와 꽃게과자에서 국민 1일 섭취량(16.3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70배가 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헬스조선이 미세플라스틱이 많다고 알려진 갑각류를 원료로 만든 과자를 전문 조사기관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다. 다만 이것이 원 재료인 새우와 꽃게에서 나온 것인지, 포장 재질 때문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위험하고, 몇 개까지 먹어도 안전한지에 대한 규정은 없는 상태다. 그러나 국민 1일 섭취량보다 엄청나게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과자에서 검출된 만큼 새우과자가 위험한 것인지, 먹어도 괜찮은 것인지 국가 차원의 전반적인 조사와 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루 16.3개만 먹는다는 식약처… 새우 과자에 70배 들어


이에 앞서 식약처는 지난 2020~2021년, 국내 유통 중인 해조류, 젓갈류, 외국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보고된 식품 등 총 11종 102품목의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를 분석하고 국민 1인이 하루 16.3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분석 결과, 액상차에선 1ml당 0.0003개, 맥주는 1ml당 0.01개, 간장 0.04개/1g, 벌꿀 0.3개/1g, 식염(천일염 제외) 0.5개/1g, 액젓 0.9개/1g, 해조류(미역‧다시마‧김) 4.5개/1g, 젓갈 6.6개/1g 등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하루 16.3개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는 지금까지 알려진 독성 정보와 비교할 때 우려할 수준이 아니며,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 수행하며, 미세플라스틱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상명대 화학과 강상욱 교수는 “그동안 식품에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있는지 매우 제한적인 조사만 이뤄지다 보니 식약처는 물론 제조업체조자 모르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새우·꽃게서 온 것 VS 포장지에서 떨어졌을 가능성


다만 이번 조사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모두 해산물로부터 왔다고 단정하긴 어렵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바다에 많은 건 사실이다. 폴리스티렌까지 더해 3종류가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런데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은 과자를 만들 때 사용된 물이나 소금에서도 검출된다.

포장재에서 떨어졌을 수도 있다. 과자류의 포장재질은 빛, 열, 습기 등을 차단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용출됐을 가능성도 있다. 강 교수는 “미세플라스틱이 새우나 꽃게에서만 왔다면 폴리스티렌, PET 등 다양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을 것”이라며 “2종만 다량 검출된 것으로 보아 포장재질이 내용물과 마찰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생겼을 가능성도 크므로 다른 종류의 과자류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암 전이, 혈관 노화 촉진 실험실 결과 있어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몇 개까지섭취가 가능한지 등에 관한 규정도 없는 상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플라스틱의 위해 가능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증거’는 없으며, 음용수 중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인체 위해 우려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2019)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동물 실험에서 세포 독성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벍혀져 있으며, 사람의 세포단위에서 암 전이와 혈관 노화를 촉진한다는 사실도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는 “미세플라스틱도 미세먼지처럼 몸 안에 들어와 혈관을 통해 전신을 순환하며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며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위해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만큼 이번 실험 결과를 계기로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기준을 하루속히 마련하고 필요한 규제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새우깡 제조사 농심 측은 "미세플라스틱 검출은 표준 분석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번 결과에대해 신뢰할 수 없다"며 “농심 자체 연구소가 미세플라스틱 국제공인인증기관이지만 지금까지 과자의 미세플라스틱 함유 여부에 대해 검사를 한번도 한 적이 없어 미세플라스틱 불검출 자료를 줄 수는 없다"고 했다.

오상훈 기자 osh@chosun.com

아니 이럴수가!!!!

제가 최고로 많이 사먹는 과자가

새우깡,꽃게랑,포테이토칩 인데요

놀러갈 때 과자 고르라면 이 세개는 꼭 삽니다. 그런데 이 중 2개가 이렇다니 너무 충격적입니다.

진짜 뭐 안먹는 게 오히려 오래 살겠네요

헬스조선 조사가 사실이라면

저는 이제 농심 안사먹을거 같습니다....아니 다른 과자회사도 비슷하겠죠

이제 뭘 안먹는 게 최고의 건강같습니다. 정수기 물이랑 자연식품

먹고 가공식품은 그냥 .....OUT하는게 답인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