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맛있는 이야기

김치찌개 맛있게 끓이는 법

by 해리보쉬 2025. 3. 17.
728x90
반응형

나름 아빠요리로 십년째

열심히 평일저녁 주말내내 요리를 하고 있습니다.

은근히 맛나게 끓이기가 힘든 게 김치찌개

가게 같은 맛 내기 힘드시죠

그건 바로 가게에는 조미료가 생각보다 엄청 들어가서 그런게 대부분이라고 봅니다만 일단 제가 생각하는 킥

몇가지

역시 돼지고기

좀 많이 씁니다.

참치도 좋고 꽁치도 좋은 데요

아이스크림도 바닐라맛 베이스로 초코 딸기 돌려가며 먹듯이

김치찌개도 근본은 육고기다

그리고 소고기보다는 돼지

돼지기름이 주는 풍미가 있다

 
 

두번째 선택지 고기와 김치를 미리 볶을 것인가

고기와 김치를 미리 볶는 경우

풍미 강화: 고기와 김치를 볶으면서 나오는 기름과 김치의 양념이 어우러져 깊은 감칠맛이 생겨요.

고기의 잡내 제거: 고기를 먼저 볶으면 잡내가 줄어들고 식감이 부드러워질 수 있어요.

김치의 농축된 맛: 김치를 볶으면 신맛이 약간 줄어들고 양념 맛이 더 농축돼요.

물에 바로 끓이는 경우

담백한 맛: 볶지 않고 끓이면 상대적으로 담백한 맛의 국물이 완성돼요. 신김치를 사용하면 특유의 새콤한 맛이 더 살아나요.

간편함: 조리 과정이 줄어들어 시간이 절약되고 손쉬워요.

어떤 방식이 더 좋을지는 개인의 취향과 목표에 따라 달라요. 진하고 깊은 맛을 원하면 볶아서 조리하고, 담백하고 가벼운 맛을 원하면 바로 끓이는 방식을 추천할게요! 요리하면서 취향에 맞게 조정해보는 것도 재미있겠죠?

저는 미리 볶는 것을 선호합니다.

마늘은 뭐 ....한국 찌개의 기본양념이죠

육수는 다신물보다는 곰탕,사골육수

다신물은 생선베이스죠

생선은 끓이기만 해도 감칠맛이 터지기는 합니다만

돼지고기 베이스로 갔으니 저는 사골육수를 추천합니다.

멸치다신물 같은거로 할거면 또 미리볶는것보다 같이 끓이는것 선호

김치 다대기

김치에서 맛이 나는 데 다대기?

라고 하실 수 있는 데

가게 같은 맛내실라면 결국 이거 가야합니다. 이거로 다른 요리에도 쓸 수 있어서

전 애용합니다. 김치만으로 깊은 맛 절대 안납니다.

김치도 많은 김치소가 들어갔거나 기교가들어간 것보다

소가 적고 심플한 게 오히려 김치찌개에 잘 어울리고

맛은 다대기나 조미료로

 
 

사실 이미 끝인데요

채소는 대파,양파,버섯 정도

신김치 맛을 내려면 김치 꼭 오래된 김치 필요없습니다.

식초 한스푼만 넣어보세요

신맛 확실합니다.

 
 

저는 여기에 쇠고기 다시다도 한스푼

이럼 맛은 정말 러블리합니다.

유명 김치찌개 집 저리가라할 맛

집에서 한거치고 너무 가게같은 맛

거기다 고기가 푸짐하게 들어가서 정말 맛나게 먹을 수 있어요

조미료를 천연으로만 만들면 굉장히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저의 이 김치찌개 킥!

어떠십니까 ㅎㅎ

반찬 없이도 한그릇 뚝딱입니다.

728x90
반응형

'맛있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면 포차 멸치칼국수  (0) 2025.03.19
콩나물국 - 심플함이 최고다  (0) 2025.03.18
햇반 만능계란볶음밥  (1) 2025.03.15
불금 저녁 - 육사시미  (0) 2025.03.14
농심라면 - 복고의 맛!  (0) 2025.03.14

댓글